공개서한과 회신들
ARCHIVE
나대엽

질식자를 위한 이방인의 인공호흡

뒤로가기
공개서한과 회신들
ARCHIVE
나대엽

질식자를 위한 이방인의 인공호흡

,

질문(들)에 답을 하기 전에 앞서 저의 이야기부터 하려고 합니다. 수학과 같은 정답이 있는 질문(들)에 대한 답을 하는 것이 아닌 이상 저의 글을 읽는 사람들이 제가 어떠한 사람인지 최소한의 정보는 알아야 합리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영화에 있어서는 돌연변이이자 이방인입니다. 서울이 아닌 대전, 종합대가 아닌 공대, 공대 중에서 이공계 엘리트들이 즐비한 대학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예술 쪽 커뮤니티에선 철저히 이방인이죠. 더 심각한 것은 흔히 시네필이라 불리는 예술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미 영화 쪽 커뮤니티에선 이방인입니다.

한마디로 저는 이방인들 사이에서도 이방인인 것입니다.

이런 소외감 속에서 그 누구보다 영화적 동지들에 대한 목마름을 가지고 열정과 끈기 하나로 많지 않은 나이에 5천 편 넘는 영화를 보았습니다. 내가 이만큼 영화를 봤다고 자랑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런 미련한 이방인도 있다는 것을 아직 만나지 못한 영화적 동지들에게 이 기회를 빌려 알리고 싶었습니다.



1. 작가와 작품에 대하여

1-1. 작품은 작가에게 종속되어 있는가?
영화는 감독에게 종속되어 있지 않습니다. 흔히 감독의 손을 떠난 영화는 관객의 것이라고 하죠. 이것은 부인하기 쉽지 않은 진리에 가까운 개념입니다. 영화가 감독에게 종속되어 있고 관객들이 자유를 잃는다면 정답과 오답의 구분이 생기게 됩니다.

1-2. 작가를 지우고 비평을 쓸 수 있는가?
1-1번과 1-2번 질문은 같은 질문인 것 같지만 사실 전혀 다른 질문입니다. 영화는 감독에게 종속되어 있지 않지만 영화와 감독을 분리할 수는 없습니다. 영화와 감독은 부모와 자식 보다 더 질긴 인연입니다. 부모는 자식을 만들 때 그들의 유전자를 바탕으로 만들 뿐이지만, 감독은 영화를 만들 때 자신의 배경과 생각을 기초하며 의도대로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블라인드 테스트를 하듯 영화의 배경 지식을 모른 채 하는 관람은 때론 의미 있고 때론 흥미로운 행위 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비평에 있어서 감독을 지운 비평은 필연적으로 반쪽짜리 비평입니다.

다시 보통 이 논쟁을 우리가 하는 이유로 돌아갑시다. 폴란스키나 우디 앨런의 신작이 개봉을 하면 질리지도 않고 이 논쟁이 불타오릅니다. 이 문제에 대해선 1-1,2번의 질문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다른 개념과 함께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감독이 현실 세계에서 하는 범죄나 비도덕적인 행위는 영화와 분리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1-2번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대신할 수 있겠죠. 하지만 분별은 해야만 합니다. 그 이유는 첫째로 예술은 판타지와 욕망과는 필연적인 관계입니다. 둘째는 도덕에 대한 개념을 여기서 자세히 할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범죄나 비도덕적인 행동을 머릿속으로 생각만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용인된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머릿속으로 살인을 한 번쯤은 생각할 수 있지만 현실 세계에선 살인을 해서는 안 됩니다. 하지만 영화에선 얼마든지 살인을 할 수 있죠.

따라서 영화를 볼 때 감독의 범죄와 비도덕적 행위를 염두 해야 하지만 영화에게는 자유를 주어야 합니다. 홍상수의 영화를 비평할 때 홍상수의 불륜 행위를 염두에 두어야 하지만 홍상수 영화 속 불륜 행위는 영화 속이라는 울타리를 지켜주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이 결정은 관객이자 비평의 주체인 우리들에게 오히려 더 많은 무기와 힘을 줍니다. 단순 불매 행위보다 더 상위의 결정인 것이죠.



2. 영화를 보는 이유에 대하여, 허용되는 이미지의 범위는 어디까지 일까?

절대 정답을 내릴 수도 내려서도 안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 문제는 정답을 내리는 순간 그것이 다시 권력이 될 것입니다. 대신 제 생각을 한번 말해보겠습니다.

제가 영화를 보는 이유는 어쩌면 누벨이마주적 관점일 수도 있는, 내가 좋아하는 이미지 혹은 씬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라탈랑트>의 베개싸움 슬로우모션, <나의 20세기>의 전구가 켜지는 씬, <오고 가며>의 엔딩 속 몽테이루의 동공 같은 것들 말입니다. 저는 모래사장에서 보물찾기 하는 심정으로 영화를 봅니다.

그렇다면 그 이미지의 허용되는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저는 범위에 제한을 두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1번 질문과 일맥상통합니다. ‘영화는 윤리적이어야 한다’ 혹은 ‘윤리적이다’ 라는 기준을 정하는 건 폭력입니다. 윤리학은 규범에 대한 학문입니다. 따라서 이 질문은 오히려 그 스스로 메타적으로 비윤리적인 것입니다. 하지만 이 말이 영화를 비평할 때 윤리를 말하지 말자는 것이 아닙니다. 비평 또한 영화와 마찬가지인 창작으로서 허용되는 범위 같은 것은 없습니다. 영화도 이미지의 범위는 무한하고 그 무한한 이미지를 비평하는 범위 또한 무한한 것입니다. 이것은 상충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이제는 상투적이기까지 한 카포의 트래블링에 대한 세르주 다네의 비평을 생각해 봅시다. 이런 영화는 만들어져서는 안된다는 논지죠. 영화는 또 다른 세계입니다. 비평 또한 하나의 세계를 만드는 행위이죠. 영화라는 세계 속엔 윤리와 비윤리가 공존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그 영화를 비평한 또 다른 세계 속에선 영화의 윤리와 비윤리를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화 속 비윤리를 규제하려 든다면 ‘선을 넘는 것’이죠.



3. 리스트에 대하여, 고전을 갱신하지 못하고 동시대에 맞는 영화적 미덕을 찾지 못하는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질문의 전제부터 동의하지 못하겠습니다. 저는 변하지 않는 고전 리스트가 애초에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시간의 흐름을 견딘 고전들은 그것만의 이유가 있고 힘이 있습니다. 오히려 죽어도 죽지 않는 로메르나 히치콕, 존 포드가 강시인 것이 왜 문제인지 동의할 수 없습니다. 제가 19살 때 처음 본 로메르의 영화들은 50년이 지났지만 그 순간만큼은 생생히 살아있었습니다. 강시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들을 우리가 사고하고 후대에 계속 전하는 게 오히려 신성한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영생이 권력이 될 수 있지 않나 하는 노파심에 이러한 질문을 하는 것 같은데, 그것은 동시대 우리와 후대 시네필들에 대한 신뢰가 없는 것입니다. 고전 리스트가 경전처럼 대물림될 수는 있습니다. 그 경전은 죽어도 죽지 않겠지만 경전을 펼쳐서 어떻게 해석할지는 펼친 사람의 자유인 것이죠. 따라서 경전을 만들고 유지하는 행위 또한 자유로울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동시대에 맞는 영화적 미덕을 찾아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이 또한 의미 있고 신성한 행위이죠. 한마디로 우리가 과거로부터 전해 받은 강시들과 마찬가지로 미래에 강시가 될 감독들과 영화들을 끊임없이 찾고 논의하고 지켜내야 합니다. 그 방법은 아주 간단하죠. 영화제나 신작들을 보고 자신만의 영화 사조를 만들거나 숨은 감독과 영화들을 ‘홍보’하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홍보 하나 하자면, 우리 모두 ‘마티아스 피네이로’의 영화들을 봅시다. 미래의 강시 후보입니다.



4. 형제애 문화에 대하여, 우리는 어떻게 평등한 시네필 동료가 될 수 있습니까?

이방인들 사이에서 이방인인 저는 이미 모두가 평등하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대책 없는 옵티미즘일 수는 있습니다. 그래서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저는 이미 모두 평등하다고 생각해야만 지금 버틸 수 있기에 하는 말입니다.

모든 시네필은 적어도 영화 앞에서는 평등합니다. 영화를 선택하고 보고 그에 대해 사유하고 말하는 것은 그 누구도 침범할 수 없습니다. 물론 영화를 선택할 때는 현실적으로 소수의 프로그래머들이 가진 권력에서 벗어나기 힘들죠. 하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선 OTT 같은 다양한 선택지가 점점 넓어질 것이라 믿습니다.

하지만 모든 시네필이 평등하다고 해서 평등한 시네필 ‘동료’가 된다는 것은 아니죠. 이번엔 페시미즘이 되어보자면, 애초에 평등한 동료라는 것은 없습니다. 대신 평등을 지향해야 하죠. 그 방법은 고전적이지만 유일한 방법인 소수들끼리 뭉치기이죠. 간단하게 이 마테리알 같은 잡지가 많아지고 많이 읽혀야 하죠.



5. 소감

제가 생각했을 때는 패배주의에 기반한 질문 리스트였지만 그 나름대로 좋았습니다. 사실 ‘패배주의’와 ‘질문’은 공존할 수 없죠. 항상 시작은 패배주의지만 끝은 해결책을 강구하는 물음을 하는 곳이 마테리알이라고 생각합니다. 마테리알의 꾸준한 활동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