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서한과 회신들
ARCHIVE
함연선

수신인: 씨네21

뒤로가기
공개서한과 회신들
ARCHIVE
함연선

수신인: 씨네21

,

씨네21은 남한의 영화문화에서 가장 영향력을 지닌 매체다. 여기서 영향력이라 함은, 얼마나 많은 수의 다양한 (잠재)독자와 접면을 갖는지와 관련한 표현이다. 아쉽게도 오큘로든, 아노든, 마테리알이든 그런 점에서 씨네21을 따라갈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씨네21은 여전히 영화 저널비평의 대표다. 씨네21이 유일한 대표 역할을 맡은 지 어언 10년이 지났다.

몇 달 전, 씨네21에서 기획한 밀레니얼 시네필 특집을 읽고선 조금 당혹스러웠는데, 당최 ‘시네필’에 대한 최소한의 정의 없이 해당 기획의 주제에 접근했단 인상을 지울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시네필은 단순히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인가? ‘밀레니얼 시네필’에 대해 말하고자 했다면 기존의 ‘시네필’의 정의나 외연에 대해 자세히 짚었거나 혹은 본인들이 제시하고자 하는 정의가 있었어야 함이 마땅하다. 누벨바그 갤러리와 트위터-시네필과 독립 영화 잡지 운영진들을 같은 레벨로 묶어서는 더더욱 안되었다. 물론 ‘트네필’이면서 ‘누갤’에서 활동하는 ‘독립 영화 잡지 운영진’이야 충분히 있을 수 있지만, 그 세 범주의 경향성이 다름은 매우 자명하다. 해당 기획의 맹점이 가장 크게 드러난 부분은, 그냥 영화와 관련한 ‘젊은’ 사람들을 모두 모아놓고 ‘밀레니얼 시네필’이라고 퉁친 다음에 ‘당신은 시네필인가?’라는 하나마나한 질문을 던진 바로 그 지점에 있다. 그 질문에 대한 답변들에서 씨네21은 논점이라 할 것을 뽑아내지 못했고, 단지 ‘밀레니얼 시네필들은 자기 자신을 시네필이라고 말하길 꺼려한다’는 (누구나 다 아는) 명제를 되뇔 뿐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정말-시네필이지만-아니라고-말한-사람과 정말로-시네필이-아니면서-시네필이-아니라고-말한-사람이 뒤섞여 있었을 것임이 틀림없다. 자, 나는 ‘정말’이라는 부사를 붙였다. 말하자면 씨네21의 문제는 “정말”이라고 운을 떼지 못/아니 한다는 것이다. 자기들 나름대로의 ‘정말’을 구성할 시간이 부족한 것인지, ‘정말’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꼭 들어가야 할 판단을 위한 용의가 부족한 것인지 정확히 알 길은 없으나, 최소한 서너달 전부터 기획을 준비한다는 얘기를 SNS 계정을 운영하는 소속기자의 트윗을 통해 보았기 때문에 나는 후자 쪽에 혐의를 두려 한다.

비슷한 문제는 씨네21이 지면에 싣는 리뷰에서도 발견된다. “나는 이렇게까지 비꼬면서 말하고 싶지 않지만 <씨네21>에 이런 식의 리뷰가 실릴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어디서부터 지적해야 할지 가늠하기 어렵다. 첫째로 현대적 예술에서 관객의 ‘동의’ 여부는 미적 판단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둘째로 어떤 작품이 관객의 기대를 결말에서 ‘부정’한다고 해서 그걸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씨네21에서 가장 긴 지면을 가장 자주 할애받는 모 평론가에 대해서 한 블로거가 쓴 비평의 일부다. 인용 부분의 논지는 ‘미적 판단의 근거를 대중의 판단으로 돌리는 것’에 대한 비판이다. (인용한 부분은 해당 글의 극히 일부분일 뿐이고, 블로거는 다른 산재한 문제점들에 대해서도 지적하므로 궁금한 이들에겐 https://sunnariii.wordpress.com/로의 접속을 권한다.) 아니면 〈기생충〉이 칸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던 당시로 (조금 더 멀리) 돌아가 볼수도 있다. 당시 씨네21은 여러 호에 걸쳐 〈기생충〉에 대한 글들을 실었는데, 그 중에는 해외 영화매체의 짧은 기생충 리뷰들도 있었다. 유심히 읽어보았지만 보이는 건 그 영화에 대한 각기 다른 길이와 모양의 ‘찬사’ 뿐이었고, 나는 심지어 그들이 왜, 정말로 왜 〈기생충〉에 대해 열광하는지 알 수 조차 없었다. 마치 토큰을 쥐어주듯 건축/페미니즘/민간정책연구의 대표자들(?)에게 지면을 할애했던 건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그러한 지면 구성은 서울시가 〈기생충〉에 나왔던 반지하 방을 ‘기생충 탐방코스’에 포함시켜 소개했던 것과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을까? 나는 씨네21에 실린 〈기생충〉에 관한 많은 비평과 글들보다, 마테리알 2호에 실린 〈봉준호 월드 유람〉이 훨씬 흥미롭다는 데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현재 씨네21에서 활동하는 모든 기자와 평론가들의 글을 하나의 경향으로 뭉뚱그리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씨네21이 자신의 지면과 기획을 N개의 의견 중 하나로 제시하면서 의견의 다양성이라는 가짜 명분 뒤에 숨는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최근 발간된 씨네21 1270호의 특집 지면에서 송경원 평론가는 우리의 공개서한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어쩌면 공격적으로 보일 수도 있는 선언인데, 내겐 절박한 호소처럼 들렸다. 1990년대에 쉽게 찾을 수 있던 선언이라고 폄하하는 반응도 봤는데 반대로 그런 에너지가 전무해진 지금 여전히 목소리를 내고 발버둥을 치는 젊은 평론가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어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 재밌는 발언이다. 우리는 ‘질식자의 편지’라는 제목의 공개서한을 최대한 더 멀리 그리고 더 우연적으로 독자들 및 영화문화 참여자들에게 가닿게 하기 위해 서한을 작성할 무렵부터 씨네21과 접촉했다. 7월 내내 이야기를 주고받았지만, 결론적으로 씨네21은 게재를 거절했다. 그리고는 이러한 강건너 불구경 식의 말 얹기. SNS가 아니라 본인들의 지면에서 우리의 서한에 대해 말하고자 했다면, 그와 같은 좌담회에서 감상‘평’으로서가 아니라 회신으로서 응답했어야 했다. 우리는 마땅한 수신인들에게 답신을 받고 싶기 때문에 발신한 것이다. 그리고 그 답신에는 나름의 판단과 주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인내심을 가지고 씨네21의 답을 기다리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