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원고는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5 한국미술 비평지원’ 사업의 후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시네마는 거대한 BDSM 장치”‘서울은 이상한 도시’ 인스타그램 계정(@weird_seoul)의 2024년 11월 22일자 포스팅 참고.이며, 영상 전시는 고문이다. 나 역시 영상 설치만으로 채워진 전시는 회피하고 싶어 하는 관람자로서, 이 글을 쓰기 위해 리서치하던 중 발견한 무작위 포스팅 속 문구를 빌어 영상 전시의 고통을 토로하는 것으로 글을 시작한다. 마테리알은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에서 2024년 11월 22일부터 2025년 6월 1일까지 열린 전시 《건축의 장면(Frames of Architecture)》 비평을 내게 제안했고, 나는 이 제안으로 연이 닿은 이 전시에 관해 쓰며, 영상 전시 관람의 고통이 쾌(快)로 전환될 수 있음을 스스로 설득해보려 한다.
영상 설치로만 이뤄진 전시에서의 관람은 임의적인 진입과 이탈, 러닝타임의 점프 등의 파편적인 시청이 전제된다. 스크린을 언제든 떠날 수 있다는 ‘선택’, 혹은 이 정도 영상의 러닝타임은 견뎌보겠다는 ‘의지’, 이 선택과 의지로 관람자는 움직이는 화면(moving image)과 스크린 사이를 보행한다. 보행은 단순히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의 이동으로만 이해되기보다는, 스크린 사이에서 배회하고, 지연되고, 길을 잃고, 우회하는 우연한 미끄러짐을 포함한다. 그로 인해 특히 영상 전시의 관람 경험은 관람자 개인마다 큰 편차를 갖게 된다. 가령 누군가는 한 전시의 모든 영상 러닝타임을 합치면 장장 3–4시간이 훌쩍 넘는 전시임을 미리 계산하고선 선뜻 전시를 떠나버리는 회의적인 태도를 취한다. 반대로 전시의 모든 러닝타임을 빠짐없이 겪어보겠다는 편집증적이고 마니아적인 관람 방식도 존재한다.유운성은 설치된 영상을 통독하려는 습관은 전체에 대한 이해 없이는 어떤 부분도 온전히 이해되지 못할 것이라는 전체론(holism)적 가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보고, 건축적 시간성을 가진 영상 설치 작업들은 이 전체론적 가정을 배반하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설명한다. 유운성, ‘시간의 건축적 경험’, 『유령과 파수꾼들』(미디어버스, 2018), p. 56. 스크린 앞에 관람자의 몸을 눕히거나, 앉히거나, 세우게 만드는 전시 환경은 관람자의 자율적 선택과 의지와 충돌하며 관람자를 유도하는 동시에 작품과 오래 접촉하려는 시도를 쉽게 좌절시키곤 한다. 이렇게 관람자의 이동과 보행에 따라 주관적으로 편집된다는 점에서, 전시란 한 편의 영상인 동시에 걸으며 감상하는 하나의 건축물로 비유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건축(적인 것)이란 대체 무엇인가? 《건축의 장면》은 건축을,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태도로서 넓게 설정하면서 건축이 속하는 다양한 층위를 한데 묶으며 출발한다. 전시는 총 8인의 작가/건축가가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창을 보여줌으로써 관람자 우리도 우리 삶, 도시, 거주 풍경으로부터 새로운 인지와 건축적 경험을 마주하길 제안한다. 그러나 나는 이 기대가 못마땅한데, 내가 이해하는 건축은 언제나 새로움을 가져다주는 만능 도구가 아니라, 무언가를 생성해 세상에 남기려는 욕망이며, 도시를 살아가는 몸이 감당해야 하는 이해관계의 총합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글은 건축을 지나치게 이상화한 이 전시를 보완하기 위해, 박선민, 박준범, 이윤석, 세 명의 한국 작가/건축가의 영상 작업으로 좁혀 ‘건축’ ‘영상’ ‘전시’의 관람에 관해 말할 것이다. 즉, 세 작가가 건축(적인 것)을 어떻게 재현하거나 재현하지 않음으로써 건축을 사유하는지, 또 어떻게 그 사유가 영상이 되고 전시가 되어 “건축적 관람”의 영역으로 들어설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